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고려군의 두만강 도하 가능성 (1)

 1. 갈라전의 규모는 약 2만호로 추정


한편 고려에 귀속한 성이 7개라고 하는데요, 문종조에 동여진에서 귀부한 여진 부락의 규모를 대략적으로 알수가 있습니다.

고려 문종조 여진1개 부락의 규모(호수, 인구, 병력등) 추정 http://cafe.naver.com/booheong/79996

결론적으로 1073년에 군현설치를 요구한 갈라전의 여진 부락, 촌수는 약 36촌이며 호수로는 대략 5500 호로 추정됩니다.
1촌당 평균 호수는 약 153호이지요.

훗날 17만의 고려군이 여진정벌전을 감행할 당시인
1107년 12월15일 ~ 12월24일간 격파한 갈라전의 촌수가 총 136 촌입니다.
고려 예종조 여진정벌 간략 상황요약 1부 http://cafe.naver.com/booheong/82074

이를 감안하면 갈라전의 대략적인 규모를 추정할 수 있지요.
즉 17만의 고려군이 개전 초기에 점령한 지역은 136촌, 1촌당 153호로 치면 약 20808 호입니다.

금사지리지를 살펴보면
갈라로는 합라로(合懶路) 총관부(總管府)가 설치되어 상경로(上京路)에 포함되었습니다.
금이 건국한 후 요와 북송을 멸하고 전국에 14총관부를 두었는데, 이중 상경로에는 회령에 총관, 갈라전에 총관을 두었지요.
그만큼 갈라전은 생여진에 있어서는 중요한 곳이었습니다.

금사지리지의 상경로 예하의 호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회령부(會寧府) : 31270호
조주(肇州) : 5375호
융주(隆州) : 10180호
신주(信州) : 7359호
포여로(蒲與路) : 개국 후 만호(萬戶) → 절도사 → 절도부사 로 강등
휼품로(恤品路) : 개국 후 만호(萬戶) → 절도사 → 절도부사 로 강등
호리개로(胡裏改路) : 개국 후 만호(萬戶) → 절도사 → 절도부사 로 강등
갈소관로(曷蘇館路) : 절도사
합라로(合懶路)/갈라로(曷懶路) : 총관(總管) → 1153년 윤(尹)+병마도총관(兵馬都總管)  병마부총관

*남여진 갈소관은 국초에 상경로에 두었다가 후에 동경로에 예속시킵니다. 위치로도 동경로가 맞지요.

포여로, 휼품로, 호리개로 등은 국초에 만호 즉 맹안에 임명하였으나 이는 형식적인 것으로
실제 10000 호에는 이르지 못할 것으로 추정합니다.
우선 이곳에는 거주 부족이 아주 적기 때문이지요.

여하튼 갈라전의 규모는 적어도 융주이상 회령부에 근접하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최소 1만호 이상 최대 3만호까지지요.
위의 제 계산이 맞고, 1107년 12월15일 ~ 12월24일, 약  10일간 파죽지세로 밀고가던 고려군의 진군이 길주에 멈추었다면
길주 이남의 호수는 약 2만호, 길주이북~두만강 유역에 1만호 정도 된다고 보입니다.

빠른 기병으로 진군하였다면 초기에 여진족이 속수무책으로 북으로 도주하던 것을 생각하면
꽤 깊숙이까지 진군하였다가, 회군하면서 길주 이남부터 축성 하였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