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여진정벌 간단 요약 (1)

 *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사강목, 금사, 송사, 동문선, 해동역사지리고, 세종실록지리지 등을 참고 하였습니다.

  일자 계산에 관해서는 1108년 이후로는 하루, 이틀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완안부 절도사 오아속의 영향력이 고려와의 접경 지역인 갈라전에 이름
-갈라전 부족민들 오아속을 거부하고 고려로 내투하자, 완안부 이를 저지하기 위해 석적환을 보냄 (병력 약 5백)
-금사에 따르면, 처음 고려로 내투한 성은 7개 성임
-1104년 1월에만 여진인 1753명이 고려 내지로 의탁하여 들어옴
-고려에서는 석적환이 보낸 (고려로 들어간 여진인 잡아오기 위한)사신의 입국을 거부하고, 단련사 14인을 구금함
-1104년 2월 고려 임간이 정주성 밖으로 출전하여 결전 → 패전 →여진군 정주 선덕관성(宣德關城) 침략 노략질
 (고려사에는 이때 여진장수를 추장 연개의 부장 지훈이라 기록/석적환으로 추정됨)

※ 참고사항 : 정주(定州 : 지금의 함경남도 정평군)의 병력구성(고려사 병지中)
-고려 동계에 편성됨
-정규군 37대(초군14대, 좌군13대,우군6대, 영새4대) 주둔함
-장교구성 : 도령(都領/현대령급)1 > 낭장4(현중령급) > 별장8(현소령급)> 교위16(현중위급)> 대정37명(현 소위급)
-당시 동북계 1대의 평균병력 약 25명, 총합하면 정규군 925 여명,
-현지 동원군은 기록되어 있지 않음. 북계의 경우에는 정규군과 규모가 비슷함

-1104년 3월 고려 윤관이 추가 파병 되어 싸웠으나 대패함(고려군 사상자 절반, 여진군 30명 죽임)
-고려에서 화친 청하고 단련사 및 귀부자 돌려보냄
-고려 숙종 매우 대노하여, 천지신명께 복수를 맹세함

-1104년 12월 윤관의 건의로 별무반 설치 운용시작


-1106년 1월 예종 신기군 사열
-1106년 3월 고려사에 따르면 지훈 2천 기병을 이끌고 관문밖에 진을 치고 귀순 및 조공 청함
-1106년 11월 윤관, 오연총 신기군, 신보군 사열


-1107년 10월 국경에서 여진족들이 계속 침범 한다고 하자, 예종 숙종의 맹세문을 신하들에게 보이고 출정식 거행
                    (윤관의 표문에 의하면 이시기 여진이 고려를 만만히 보고 능멸 하였다함)
-1107년 11월 19일 예종 서경 행차, 
-1107년 11월 22일 예종 자비령 도착
-1107년 11월 24일 예종 서경 도착 
-1107년 12월 01일 서경 위봉루, 조진전에서 윤관과 오연총에게 부월 하사하여 동계로 보냄, 4로군 출진(윤관의 표문 근거)
                             본군 윤관 53000명+중군 김한충 36700명+좌군 문관 33900명+우군 김덕진 43800명+해군 2600명=총합 17만
-1107년 12월 13일 함경남도 정평군에 도착하여 둔병하며 대기
-1107년 12월 13일 여진 완안부 사신과 추장 일행 400여명 초대잔치 벌리다 모두 죽임

-1107년 10~12월초, 고려 → 여진 완안부에 귀부자 돌려 준다고 사신 오라고함
-1107년 11월말~12월 14일 완안부 절도사 오아속 마기령에서 사냥하며, 사신이 돌아오길 기다림

-1107년 12월 14일 여진 관내로 진입함, 
                            대내파지촌(大乃巴只村)에 여진인들 모두 도주하고 가축만 들에 넘침
                            윤관 본군 53000명 문내니촌(文乃泥村) 동음성(冬音城) 공격, 여진족 촌민 패배하여 도주함

-1107년 12월 15일 좌군 33900명 석성(石城) 통역 보내 항복권고 → 거부 → 공성시작 
                             → 척준경 적진으로 돌진하여 추장2~3명 죽임 → 전군 돌격 → 성안의 남녀노소 모두 죽임

-1107년 12월15~12월24일간
  윤관 본군 대내파지등 37촌 격파, 2120명 참수, 500명 포로
  본군중 일부 이위동(伊位洞) 공격하여 함락시킴, 1200명 참수
  중군은 고사한(高史漢)등 35촌을 격파, 380명 참수, 230명 포로
  좌군은 심곤(深昆)등 31촌을 격파, 950명 참수
  우군은 광탄(廣灘)등 32촌을 격파, 290명 참수, 300명 포로
  총 136개촌 격파, 4940명 참수, 1030명 포로, 이후 수천명 추가로 포로
-오아속 완안부로 돌아와 부족회의 주재(모든 부족민이 전쟁 불가 주장, 아골타만이 전쟁불사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