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고려군의 두만강 도하 가능성 (3)

 1103년 11월 이후 완안부에서 파견된 석적환은 1104년 1월 사이에 

다음과 같은 3가지 일을 시행합니다.

1. 오수 中  성현(星顯)과 통문(統門)의 부족들의 병력을 차출
2. 성현, 통문의 군사를 거느리고 을라골령, 현 길주 근방으로 내려와 근방 부족들에게서 더 모병
3. 활열수, 현 홍원 근방까지 내려가 고려로 붙은 7성을 다시 완안부로 귀속시킴

(위치 비정은 전편을 참고하세요)

이렇게 석적환이 갈라전 북부의 부족 병력을 동원하여, 길주 이남의 친 고려 지역을 순행하자,
(당시 갈라전의 친고려파 부족의 수장은 부내로(夫乃老)였나 봅니다.)
고려사 1104년 1월 6일 기사를 살펴보면 이날 갈라전에서 
여진인 1753명이 고려 최동북단 정주로 의탁하여 들어오게 됩니다.
또한 이날 석적환의 부대가 정주 관문 밖에 진을 치게 됩니다.
즉, 부내로의 세력인 여진인 1753명을 쫓아온 것이었지요.

고려사에서는 이때 여진의 장수를 공형지조(公兄之助)라고 하는데, 
고려사 1106년 1월 18일 기사를 살펴보면 이때의 장수를 지훈(之訓)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훈(之訓)은 1106년 3월 5일 기사에서 기병 2천을 이끌고 정주성 밖에 와 화친을 청한 인물입니다.
일부 논문에서는 공형과 지조를 별개의 인물로 보기도 하던데요,
저는 혹 여진 병사들이 석적환을 태사 오아속의 종형으로 칭하여, 고려 정주성에 소리쳐 말하기를
<공(公/오아속)의 형제(兄弟)인 지조(之助)다>라고 한 것은 아닌가 모르겠네요.

당시에 고려에는 여진 통역관들이 다수 있었나 봅니다.
문종조의 기록을 살펴보면 
1073년 5월 나갈촌 전투에 낭장 문선이 통역들과 대동하여 참관하였다는 구절과
1073년 7월에는 여진족 출신 통역관 고가서로가 여진 귀부에 공을 세워 벼슬을 내리는 구절이 
있습니다.
또한 동북9성 여진 정벌 초기인 1107년 12월 15일에는 석성에 통역을 보내 항복을 권고하기도 
하였지요.

금사에는 석적환을 오아속의 족제라 표현하였는데, 
여진어로 형제(兄弟)는 axu dou [아후 도우]라고 발음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