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51대 여왕인 진성여왕의 유모인 부호부인(鳧好夫人)은 진성여왕이 즉위하자
정치에 깊이 관여하여 국정 문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하여 저자에 부호부인의 남편이자 진성여왕의 정부인 김위홍, 부호부인 등
진성여왕이 총애하는 4, 5명이 국정을 농단하여 정치가 극도로 문란해지고 결국 나라를 망치고
있다는 비방문이 붙기도 하였습니다.
진성여왕은 김위홍을 잊지 못해 원당을 세우고 명복을 빌기도 하였다지요.
부호부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7674&cid=46620&categoryId=46620
삼국유사 진성여대왕(眞聖女大王) 거타지(居陀知) 中
제51대 진성여왕(眞聖女王)이 왕위에 오른 지 몇 해가 되자,
유모 부호부인(鳧好夫人)의 남편 위홍(魏弘) 잡간(匝干) 등 서너 명의 총애 받는 신하들이 권력을 제멋대로 부려서
정치가 흔들렸다. 그러자 도적들이 벌떼처럼 일어났다. 나라 사람들이 이를 근심하여 다라니(陀羅尼)의 은어를 만들어서
글로 써 길 위에 던져놓았다. 왕과 권신들이 이를 보고 말하였다.
“이것은 왕거인(王居仁)의 짓이다. 그가 아니라면 누가 이런 글을 지을 수 있단 말이냐?”
그리고는 곧 거인을 옥에 가두었다. 거인이 시를 지어서 하늘에 호소하자, 하늘이 옥에 벼락을 내리쳐서 풀려날 수 있었다.
그 시는 이러하다.
연나라 태자 단(丹)이 피눈물을 흘리자 무지개가 해를 꿰뚫었고
추연(鄒衍)이 원한을 품자 여름에도 서리가 내렸다네.
지금 나는 길을 잃어 옛 사람과 같은 처지가 되었는데
하늘은 어찌하여 상서로움을 내리지 않으시는가.
다라니는 이러하다.
“남무망국(南無亡國) 찰니나제(刹尼那帝) 판니판니소판니(判尼判尼蘇判尼) 우우삼아간(于于三阿干) 부이사파가(鳧伊娑婆訶)”
해설하는 사람은 이렇게 풀이하였다.
“‘찰니나제’는 여왕을 말한다. ‘판니판니소판니’는 두 소판을 말한다. 소판은 벼슬 이름이다.
‘우우삼아간’은 세 명의 총애 받는 신하를 말한다. ‘부이’란 ‘부호부인’을 말한다.”
第五十一 眞聖女王 臨朝有年 乳母鳧好夫人 與其夫魏弘匝干等三四寵臣 擅權撓政 盜賊蜂起 國人患之
乃作陀羅尼隱語 書投路上 王與權臣等得之 謂曰 此非王居仁 誰作此文
乃囚居仁於獄 居仁作詩訴于天 天乃震其獄 因以免之 詩曰 燕丹泣血虹穿日 鄒衍含悲夏落霜 今我失途還似舊
皇天何事不垂祥 陀羅尼曰 南無亡國 刹尼那帝 判尼判尼蘇判尼 干干三阿干 鳧伊娑婆訶 說者云 刹尼那帝都者
言女王也 判尼判尼蘇判尼者 言二蘇判也 蘇判爵名 干干三阿干也 鳧伊者 言鳧好也
[네이버 지식백과] 진성여대왕과 거타지 [眞聖女大王 居陀知]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2012. 8. 20.,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삼국사기 진성여왕 2년 888년 2월 기사中
2년 봄 2월
왕이 원래부터 각간 위 홍과 간통하고 있었는데, 이 때에 이르러서는 언제나 궁중에 들어 와서 일을 보게 하였다.
그리고 그에게 명령하여 대구 화상과 함께 향가를 수집하게 하였는데, 이를 삼대목이라고 불렀다.
위홍이 죽자 혜성대왕이라는 시호를 추증하였다. 이후로 왕은 젊은 미남자 두 세 명을 남몰래 불러들여 음란하게 지내고,
그들에게 요직을 주어 나라 정사를 맡겼다. 이에 따라 아첨하고 총애를 받는 자들이 방자하여지고,
뇌물을 주는 일이 공공연하게 행해졌으며, 상벌이 공평하지 못하고 기강이 문란해졌다.
이 때 누군가가 이름을 감추고 시정을 비방하는 말을 만들어 관청 거리에 방을 붙였다.
왕이 그를 수색케 하였으나 잡을 수 없었다. 누가 왕에게 말하기를 “이것은 필시 문인으로서 뜻을 펴지 못한 자의 소행이니,
아마도 대야주에 숨어 사는 거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명령을 내려 거인을 체포하여 서울 감옥에 가두고 처벌하려 하였는데, 거인이 분하고 원망스러워,
감옥 벽에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우공이 통곡하니 3년이나 가물었고,
추연이 슬퍼하니 5월에도 서리 왔네.
지금 나의 깊은 시름, 옛 일과 같건만
하늘은 말없이 푸를 뿐인가.
그날 저녁에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덮이고 번개가 치며 우박이 내렸다. 왕이 이를 두려워하여 거인을 석방하여 돌려 보냈다.
동사강목 진성여왕 2년 888년 2월 기사中
춘2월
○ 폐신(嬖臣) 위홍이 죽으니 혜성왕(惠成王)으로 추봉하였다.
위홍은 여주의 유모 부호 부인(鳧好夫人)의 남편으로 벼슬이 상대등에 이르렀으며,
여주가 일찍부터 그와 간통하였으므로 항상 궁내에 들어와서 정권을 마음대로 하였다.
여주의 명으로 중 대구(大矩)와 더불어 향가(鄕歌)를 수집하여 편수하였는데,
이를 《삼대목(三代目)》이라 하였다. 위홍이 죽자 혜성왕으로 추시하였으나 여러 신하 중에 한 사람도 말하는 사람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