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관 1년 후 1645년 4월 청군이 10일간 80만 명을 학살한 것으로 알려진 양주십일기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1부-도르곤<사가법 선생! 같이 갑시다!> 2부-도도<반항하는 양주성을 도륙 냈나이다!> 3부-함락 하루 전...잔치를 벌이다 4부-함락1일차(1) 낙성임박! 이중인격자 사가법! 5부-함락1일차(2) 아내에게 자살을 권유하다! 6부-함락1일차(3) 살육의 밤 공포에 떨다! 7부-함락2일차(1) 젖먹이들이 길가에 간과 뇌를 흩뿌리다! 8부-함락2일차(2) 고려여자들은 절개를 지켰는데, 너희 중국인은 수치를 모르는가? 9부-함락2일차(3) 구사일생 처자와 상봉하다! 원문 출처 : https://zh.wikisource.org/zh-hant/%E6%8F%9A%E5%B7%9E%E5%8D%81%E6%97%A5%E8%A8%98 --------------------------------------------------------------------------- 양주십일기(揚州十日記) 中 【四月廿七日】 廿七日,問婦避所,引予委曲至一柩後,古瓦荒磚,久絕人跡, 予蹲腐草中,置彭兒於柩上,覆以葦席,婦僂居於前,我曲附於後。 揚首則露頂,展足則踵見,屏氣滅息,拘手足為一裹,魂少定而殺聲逼至,刀環響處,愴呼亂起,齊聲乞命者或數十人或百餘人。 遇一卒至,南人不論多寡,皆垂首匐伏,引頸受刃,無一敢逃者。 至於紛紛子女,百口交啼,哀鳴動地,更無論矣! 日向午,殺掠愈甚,積屍愈多,耳所難聞,目不忍視,婦乃悔疇昔之夜,誤予言未死也。 然幸獲至夕,予等逡巡走出,彭兒酣臥柩上,自朝至暮,不啼不言,亦不欲食,或渴欲飲,取片瓦掬溝水潤之,稍驚則仍睡去, 至是呼之醒,抱與俱去。 洪嫗亦至,知吾嫂又被劫去,吾侄在襁褓竟失所在,嗚呼痛哉! 甫三日而兄嫂弟侄已亡其四,煢煢孑遺者,予伯兄及予婦子四人耳! 相與覓臼中餘米,不得,遂與伯兄枕股忍飢達旦。 是夜予婦覓死幾斃,賴洪嫗救得免。 【4월 27일 】 27일에 부(婦)에게 피소(避所)를 문(問)하니, 위곡(委曲/구불구불한 길)으로 인여(引予)하여 일구(一柩)의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