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51대 여왕인 진성여왕의 유모인 부호부인(鳧好夫人) 은 진성여왕이 즉위하자 정치에 깊이 관여하여 국정 문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하여 저자에 부호부인의 남편이자 진성여왕의 정부인 김위홍, 부호부인 등 진성여왕이 총애하는 4, 5명이 국정을 농단하여 정치가 극도로 문란해지고 결국 나라를 망치고 있다는 비방문이 붙기도 하였습니다. 진성여왕은 김위홍을 잊지 못해 원당을 세우고 명복을 빌기도 하였다지요. 부호부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7674&cid=46620&categoryId=46620 삼국유사 진성여대왕(眞聖女大王) 거타지(居陀知) 中 제51대 진성여왕(眞聖女王)이 왕위에 오른 지 몇 해가 되자, 유모 부호부인(鳧好夫人)의 남편 위홍(魏弘) 잡간(匝干) 등 서너 명의 총애 받는 신하들이 권력을 제멋대로 부려서 정치가 흔들렸다. 그러자 도적들이 벌떼처럼 일어났다. 나라 사람들이 이를 근심하여 다라니(陀羅尼)의 은어를 만들어서 글로 써 길 위에 던져놓았다. 왕과 권신들이 이를 보고 말하였다. “이것은 왕거인(王居仁)의 짓이다. 그가 아니라면 누가 이런 글을 지을 수 있단 말이냐?” 그리고는 곧 거인을 옥에 가두었다. 거인이 시를 지어서 하늘에 호소하자, 하늘이 옥에 벼락을 내리쳐서 풀려날 수 있었다. 그 시는 이러하다. 연나라 태자 단(丹)이 피눈물을 흘리자 무지개가 해를 꿰뚫었고 추연(鄒衍)이 원한을 품자 여름에도 서리가 내렸다네. 지금 나는 길을 잃어 옛 사람과 같은 처지가 되었는데 하늘은 어찌하여 상서로움을 내리지 않으시는가. 다라니는 이러하다. “남무망국(南無亡國) 찰니나제(刹尼那帝) 판니판니소판니(判尼判尼蘇判尼) 우우삼아간(于于三阿干) 부이사파가(鳧伊娑婆訶)” 해설하는 사람은 이렇게 풀이하였다. “‘찰니나제’는 여왕을 말한다. ‘판니판니소판니’는 두 소판을 말한다. 소판은 벼슬 이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