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1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양주대학살 15부-함락7일차 80만 시신을 불태우다!

  입관 1년 후 1645년 4월 청군이 10일간 80만 명을 학살한 것으로 알려진 양주십일기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1부-도르곤<사가법 선생! 같이 갑시다!> 2부-도도<반항하는  양주성을 도륙 냈나이다!> 3부-함락 하루 전...잔치를 벌이다 4부-함락1일차(1) 낙성임박! 이중인격자 사가법! 5부-함락1일차(2) 아내에게 자살을 권유하다! 6부-함락1일차(3) 살육의 밤 공포에 떨다! 7부-함락2일차(1) 젖먹이들이 길가에 간과 뇌를 흩뿌리다! 8부-함락2일차(2) 고려여자들은 절개를 지켰는데, 너희 중국인은 수치를 모르는가? 9부-함락2일차(3) 구사일생 처자와 상봉하다! 10부-함락3일차 학살에 울부짖는 아이들과 울지 않는 젖먹이 11부-함락4일차 청 한족 장군이 한족들을 살리다! 12부-함락5일차(1) 흉폭한 한족 팔기군 병사! 13부-함락5일차(2) 집단 강간당하는 부녀자들 14부-함락6일차 봉도령(封刀令)! 얼레빗과 참빗 명군의 약탈! 원문 출처 :  https://zh.wikisource.org/zh-hant/%E6%8F%9A%E5%B7%9E%E5%8D%81%E6%97%A5%E8%A8%98 --------------------------------------------------------------------------- 양주십일기(揚州十日記) 中 五月初二】 初二日,傳府道州縣已置官吏,執安民牌遍諭百姓,毋得驚懼。 又諭各寺院僧人焚化積屍; 而寺院中藏匿婦女亦復不少,亦有驚餓死者,查焚屍簿載其數,前後約計八十萬餘,其落井投河,閉戶自焚, 及深入自縊者不與焉。 是日,燒綿絮灰及人骨以療兄創; 至晚,始以仲兄季弟之死哭告予兄,兄頷之而已。 【5월 2일 】 초 2일에, 전( 傳)하기로 부도주현(府道州縣)은 이미(已) 관리(官吏)를 치(置)하였고, 안민패(安民牌)를 집(執)하여 백성(百姓)을 편유(遍諭/널리 타이름)하여, 경구(驚懼/놀라고 두려워함)를 득(得)하지 말라 하였다. 또 각(各) 사원(寺院)에 유(諭)하여 승인(僧人/중)은 ...

양주대학살 14부-함락6일차 봉도령(封刀令)! 얼레빗과 참빗 명군의 약탈!

  입관 1년 후 1645년 4월 청군이 10일간 80만 명을 학살한 것으로 알려진 양주십일기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1부-도르곤<사가법 선생! 같이 갑시다!> 2부-도도<반항하는  양주성을 도륙 냈나이다!> 3부-함락 하루 전...잔치를 벌이다 4부-함락1일차(1) 낙성임박! 이중인격자 사가법! 5부-함락1일차(2) 아내에게 자살을 권유하다! 6부-함락1일차(3) 살육의 밤 공포에 떨다! 7부-함락2일차(1) 젖먹이들이 길가에 간과 뇌를 흩뿌리다! 8부-함락2일차(2) 고려여자들은 절개를 지켰는데, 너희 중국인은 수치를 모르는가? 9부-함락2일차(3) 구사일생 처자와 상봉하다! 10부-함락3일차 학살에 울부짖는 아이들과 울지 않는 젖먹이 11부-함락4일차 청 한족 장군이 한족들을 살리다! 12부-함락5일차(1) 흉폭한 한족 팔기군 병사! 13부-함락5일차(2) 집단 강간당하는 부녀자들 원문 출처 :  https://zh.wikisource.org/zh-hant/%E6%8F%9A%E5%B7%9E%E5%8D%81%E6%97%A5%E8%A8%98 --------------------------------------------------------------------------- 양주십일기(揚州十日記) 中 【五月初一】 次日為五月朔日,勢雖稍減,然亦未嘗不殺人,未嘗不掠取; 而窮僻處或少安; 富家大室方且搜括無餘,子女由六七歲至十餘歲搶掠無遺種。 是日,興平兵復入揚城,而寸絲半粟,盡入虎口,前梳後篦,良有以也。 【5월 1일 】 차일(次日)은 5월( 月)의 삭일( 朔日)이었는데, 세( 勢)가 비록( 雖) 초감( 稍減)하였으나, 그러나 역시(亦) 살인(殺人)이 없지는 않았고,  약취( 掠取)가 없지도 않았는데, 이에  궁벽처(窮僻處)는 혹( 或) 소안(少安)하였고, 부가( 富家)와 대실( 大室)은 바야흐로 또한  수괄(搜括/착취)하여  무여( 無餘)하였고,  자녀(子女)는 6~7세(歲)로부터 10세(...

양주대학살 13부-함락5일차(2) 집단 강간당하는 부녀자들

  입관 1년 후 1645년 4월 청군이 10일간 80만 명을 학살한 것으로 알려진 양주십일기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1부-도르곤<사가법 선생! 같이 갑시다!> 2부-도도<반항하는  양주성을 도륙 냈나이다!> 3부-함락 하루 전...잔치를 벌이다 4부-함락1일차(1) 낙성임박! 이중인격자 사가법! 5부-함락1일차(2) 아내에게 자살을 권유하다! 6부-함락1일차(3) 살육의 밤 공포에 떨다! 7부-함락2일차(1) 젖먹이들이 길가에 간과 뇌를 흩뿌리다! 8부-함락2일차(2) 고려여자들은 절개를 지켰는데, 너희 중국인은 수치를 모르는가? 9부-함락2일차(3) 구사일생 처자와 상봉하다! 10부-함락3일차 학살에 울부짖는 아이들과 울지 않는 젖먹이 11부-함락4일차 청 한족 장군이 한족들을 살리다! 12부-함락5일차(1) 흉폭한 한족 팔기군 병사! 원문 출처 :  https://zh.wikisource.org/zh-hant/%E6%8F%9A%E5%B7%9E%E5%8D%81%E6%97%A5%E8%A8%98 --------------------------------------------------------------------------- 양주십일기(揚州十日記) 中 置兒於宅,同婦急出省兄,前後項皆砍傷,深入寸許,胸前更烈,啟之洞內府; 予二人扶至洪宅,問之,亦不知痛楚,神魂忽瞶忽甦。 安置畢,予夫婦復至故處躲避,鄰人俱臥亂屍眾中,忽從亂屍中作人語曰: 「明日洗城,必殺一盡,當棄汝婦與吾同走。」 婦亦固勸余行,余念伯兄垂危,豈忍捨去? 又前所恃者猶有餘金,今金已盡,料不能生,一痛氣絕,良久而甦。 火亦漸滅,遙聞炮聲三,往來兵丁漸少,予婦彭兒坐糞窖中,洪嫗亦來相依。 有數卒擄四五個婦人,內二老者悲泣,兩少者嘻笑自若; 後有二卒追上奪婦,自相奮擊,內一卒勸解作滿語,忽一卒將少婦負至樹下野合,餘二婦亦就被污, 老婦哭泣求免,兩少婦恬不為恥,數十人互為姦淫,仍交與追來二卒,而其中一少婦已不能起走矣。 予認知為焦氏之媳,其家平日所為,應至於此,驚駭之下,不勝嘆息。 忽見一人紅衣佩劍,滿帽皂靴,年不及三十,姿容俊爽,...

양주대학살 12부-함락5일차(1) 흉폭한 한족 팔기군 병사!

  입관 1년 후 1645년 4월 청군이 10일간 80만 명을 학살한 것으로 알려진 양주십일기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1부-도르곤<사가법 선생! 같이 갑시다!> 2부-도도<반항하는  양주성을 도륙 냈나이다!> 3부-함락 하루 전...잔치를 벌이다 4부-함락1일차(1) 낙성임박! 이중인격자 사가법! 5부-함락1일차(2) 아내에게 자살을 권유하다! 6부-함락1일차(3) 살육의 밤 공포에 떨다! 7부-함락2일차(1) 젖먹이들이 길가에 간과 뇌를 흩뿌리다! 8부-함락2일차(2) 고려여자들은 절개를 지켰는데, 너희 중국인은 수치를 모르는가? 9부-함락2일차(3) 구사일생 처자와 상봉하다! 10부-함락3일차 학살에 울부짖는 아이들과 울지 않는 젖먹이 11부-함락4일차 청 한족 장군이 한족들을 살리다! 원문 출처 :  https://zh.wikisource.org/zh-hant/%E6%8F%9A%E5%B7%9E%E5%8D%81%E6%97%A5%E8%A8%98 --------------------------------------------------------------------------- 양주십일기(揚州十日記) 中 【四月廿九日】 次日,則廿九矣。 自廿五日起,至此已五日,或可冀幸遇赦,乃紛紛傳洗城之說,城中殘黎冒死縋城者大半, 舊有官溝壅塞不能通流,至是如坦途,夜行晝伏,以此反罹其鋒。 城外亡命利城中所有,輒結伴夜入官溝盤詰,搜其金銀,人莫敢誰何。 予等念既不能越險以逃,而伯兄又為予不忍獨去; 延至平旦,其念遂止; 原蔽處知不可留,而予婦以孕故屢屢獲全, 遂獨以予匿池畔深草中,婦與彭兒裹臥其上,有數卒至,為劫出者再,皆少獻賂而去。 繼一狠卒來,鼠頭鷹眼,其狀甚惡,欲劫予婦; 婦偃蹇以前語告之,不聽,逼使立起,婦旋轉地上, 死不肯起,卒舉刀背亂打,血濺衣裳,表裡漬透。 先是婦戒予曰: 「倘遇不幸,吾必死,不可以夫婦故乞哀,並累子; 我死則必死子目,俾子亦心死。」 至是予遠躲草中,若為不與者,亦謂婦將死,而卒仍不捨,屢擢婦髮周數匝於臂,怒叱橫曳而去。 由田陌至深巷一箭地,環曲以出大街,行數武必擊數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