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당시 홍 타이지와 인조 사이에 오간 문서의 내용은 만문과 한문 두가지 내용이 있어, 이미 일전의 연재에서 번역하여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 만문노당 1636년 11월 25일~12월 30일 1부~65부 내국사원당 1637년 1월 1일~1월24일 1부~30부 내국사원당 1637년 1월 24일~2월 30일 연재 예정 청실록 1637년 1월 1일~7월 3일 1부~51부 만주어 삼전도비 번역 속잡록 1638년 7월 16일 기록에는 인조가 명 진도독에게 보내는 문서를 인용하며 인조가 진도독에게 남한산성의 일을 설명하며 국서 관련도 언급하였는데요. 이 기록에는 남한산성 포위 당시 용골대 등이 보낸 국서가 언문이었다고 기록하였습니다. 즉 이 언문은 만주문으로 판단됩니다. 홍 타이지의 조서를 한글로 번역하고 써서 인조에게 보낼 가능성은 거의 없지 않겠습니까? 속잡록4 무인년 1638년 7월 16일 인조가 진도독(陳都督)에게 보내는 자문(咨文)中 -7월 16일신시와 유시에 해무리가 지다. 21일 사시와 미시에도 햇무리가 지다. ○ 진도독(陳都督)에게 주상이 자문(咨文)을 다음과 같이 보냈다. -1월 2일에 차인(差人) 용골대(龍骨大)가 성밑에 와서 언문 으로 쓴 격문 을 던져 보였는데, 거기에 쓰기를, “대청국(大淸國) 관온 인성황제(寬溫仁聖皇帝)는 조선 국왕에게 조서로 유시하노라. -또 지난해 본국에서 변신(邊臣)들에게 유시한 문서 한 통을 가지고 우리에게 도로 보이며 아울러 언문으로 써 왔는데, “나라 운수가 불행하여 졸지에 정묘(丁卯)의 변을 당하였다. 하는 수 없이 권도로 그들과 화친을 허락하였더니, 10년 동안에 계학(溪壑) 같은 욕심이 만족함이 없어 공갈이 날로 심하니, 이는 참으로 전고(前古)에 없는 수치다. -그 후 본월 17일에 용골대(龍骨大)가 또 와서 격문(檄文)을 언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