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초에 이 공험진이 다시 대두된 것은 분명히 명과의 국경분쟁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서쪽 국경은 고려조부터 유지해오던 압록강 라인이 어느 정도 확정된 상태였고, 문제는 동북 국경이었지요. 당시 동북은 확실히 내 땅이라고 할만한 나라가 없는 무주공산?이었지요. 물론 여진족이 땅을 차지하고는 있었으나 나라를 이루진 못하였고, 고려조 이성계가 함흥을 중심으로 동북면을 관장하면서 많은 여진족이 내투하였으며, 조선이 건국해서도 기미정책을 쓰면서 간접 지배를 하였지요. 국경분쟁 당시 때마침 회령의 맹가첩목아가 명의 회유를 거부하고 조선에 내투하였지요. 게다가 경흥은 조선 왕조의 발상지?라 불릴 정도로 중요한 땅이었습니다. 즉, 조선 입장에서는 국경을 두만강 라인과 경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경원군이 공험진이어야만 했습니다. *경원(慶源)의 뜻 자체가 기쁨의 근원, 즉 조선왕조 선조의 근원이란 뜻으로 명칭 된 것이며, 경흥(慶興)은 기쁨이 흥한 곳, 즉 조선왕조의 선조들이 흥한 곳이란 뜻으로 명칭 된 것이고, 이성계의 고조부 이안사와 고조모의 능인 덕릉(德陵)과 안릉(安陵)이 원래 있던 곳입니다. 즉 세종에게는 매우~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는 점이지요!!! 고려가 갈라전을 일시 점유한 기간은 1107년 12월14일 갈라전 진입부터 1109년 7월 철수까지 길어야 2년 반입니다. 고려가 경계비를 세웠다는 공험진도 점유기간이 1108년 2월 27일에서 길어야 1109년 5월까지 2년 3개월 남짓입니다. 하지만 국초 국경분쟁에 있어 조선에게 중요한 것은 명분이었습니다. 명분상 명나라가 원나라 땅 모두 내놔라 하면, 조선은 동북면을 통째로 내줘야 하겠지요. 하지만 명나라가 여진족 땅을 모두 직할령으로 반드시 지배하겠다는 의지는 이후를 살펴보면 그리 크지 않았던 것으로 짐작됩니다. 해서 조선이 동북쪽 국경 라인의 가이드 라인을 두만강 라인으로 확보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