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공험진은 길주로 가는 길목에 있었다. 동사강목 1109년 5월 기사中 ○ 여진이 오연총을 공험진에서 습격하여 크게 패배시키자 윤관을 보내어 이를 구원하게 하였다. 오연총이 군사를 거느리고 장차 길주(吉州)를 구원하려고 가다가 공험진에 이르자 적이 길을 가로막고 기습하여 , 우리 군사가 크게 패배하였다. 고려사 1109년 5월 기사中 ○ 여진이 길주성을 포위 하였다. 성으로부터 10리 되는 곳에 작은 성을 쌓고 목책 여섯 군데를 세워 수개월 동안 몹시 급하게 성을 공격하여 성이 거의 함락될 뻔하였다. 병마부사 이관진 등이 군졸을 독려하여 하룻밤에 다시 내성을 쌓고 지키면서 싸웠으나, 싸움이 오래되고 힘이 지쳐서 사상자가 매우 많았다. 오연총이 군사를 이끌고 가서 구하려 하니, 여진이 길을 막고 불의에 습격 하여, 우리 군사가 대패하여 죽고 포로된 것이 이루 다 셀 수 없었다. 연총은 장계를 갖추고 죄 받기를 청하였다. 고려사 오연총 열전中 그 후 여진이 또다시 원근 부락들의 인원을 집합하여 몇 달 동안이나 길주를 포위 하고 성 바깥 십리에 작은 성을 쌓고 여섯 곳에 목책(柵)을 만들고 맹렬하게 성을 공격하므로 성이 거의 함락될 지경에 이르렀다. 병마 부사 이관진(李冠珍) 등이 병사들을 격려하고 하룻밤 사이에 다시 겹성을 쌓아 일변 전투, 일변 방어에 힘썼으나 전투가 오래 계속되고 기세가 꺾이어 사상자가 많았다. 오연총이 이 소식을 듣고 분연히 출정하려 했으므로 왕이 다시 부월을 주어 보냈다. 오연총의 군대가 공험진에 이르렀을 때에 적들이 길을 막고 요격하므로 우리 군대가 대패를 당하고 장병들이 무기를 버리고 여러 성으로 뿔뿔이 흩어져 들어갔으며 사망자와 부상자의 수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오연총은 전황 보고를 상세히 하고 자기의 죄과를 비판한 후 윤관과 함께 군대를 정비하고 재차 길주를 향하여 갈 때 때마침 적의 사신이 와서 강화를 청했으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