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공구입니다. 이성계 일족이 당시 여진땅이었던 [갈라전], 여진어로 [하라 온/카라 온]에 살던 시절 불렸던 여진+몽고 이름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1. 이성계의 조부 이춘 -고려 이름 : 이춘(李椿) -한문명 : 발안첩목아(孛顔帖木兒) -갈라전 시절 인명 : 바얀 터무르[bayan temur] -뜻 : 부철( 富鐵) / 부자 쇠 조선왕조실록 태조 총서 中 도조(度祖)의 휘(諱)는 이춘(李椿)인데, 어렸을 적의 이름은 선래(善來)요, 몽고(蒙古) 이름은 발안첩목아(孛顔帖木兒) 이다. 흠정원사어해 9권中 巴延特穆 爾 巴延富也特穆爾鐡也 卷三十四作卜顔帖木兒 卷一百七作 孛顔帖木兒 俱係宗室諸王 卷十八作不顔帖木 而卷十九作伯顔帖木而 卷二十六作不顔鐡木兒 卷四十二作伯顔帖木兒非一人併改 파연(巴延) 특목이( 特穆 爾) 파연(巴延)은 부(富)다. 특목이(特穆爾)는 철(鐡)이다. 34권(卷)에는 복안(卜顔) 첩목아(帖木兒)라 작( 作)하였고, 107권(卷)에는 발안(孛顔) 첩목아(帖木兒) 라 작( 作)하였는데, 모두 종실(宗室)의 제왕(諸王)에 계( 係)한다. 18권(卷)에는 부안(不顔) 첩목(帖木)이라 작( 作)하였고, 19권(卷)에는 백안(伯顔) 첩목(帖木)이라 작( 作)하였고, 26권(卷)에는 부안(不顔) 첩목아(鐡木兒)라 작( 作)하였고, 42권(卷)에는 백안(伯顔) 첩목아(帖木兒)라 작( 作)하였는데, 1인( 人)이 아닌데, 병개(併改/모두 고침)한다. 바얀 터무르[bayan temur] 바얀은 부유하다는 뜻이고, 터무르는 철 (쇠)이 라는 뜻이다. (원사) 34권에는 복안 첩목아, 107권에는 발안 첩목아라 쓰여 있는데 모두 종실 여러 왕에 관계한다. 18권의 부안 첩목, 19권의 백안 첩목, 26권의 부안 첩목아, 42권의 백안 첩목아라 쓰여 있는데 같은 사람이 아니고 (동명이인으로) 모두...